[속보] 지금 자기만의방 가입하면? 10만원 드려요!
back icon
홈 버튼
검색 버튼
알림 버튼
menu button
PTR Img
category

팁・정보

input
profile image
숨어있는 자기2024.05.01
share button

친구에게, 애인에게, 직장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팁
누군가에겐 이런 당연한 걸 팁이라고 써야 하나 싶을 수도 있음 근데 이거 못하는 사람 종종 보여서 도움 되라고 씀! 북마크 미리 고마워

1. 질문 한 번에 하기

❌일요일에 뭐해? (답장을 기다렸다가) 그럼 나랑 어디어디 같이 갈래? (상대가 그게 뭐냐고 물어봄) 아 옷가게인데 너도 맘에 들어할 거 같아서 (상대가 몇 시에 가냐고 물어봄) 아직 안 정했는데 너 몇 시에 되는데? (상대: 점심 먹고 2시?) 아 나 3시에 집 도착해서 그땐 안 되고 5시 어때? (상대랑 조율 후 약속 잡힘 OR 5시엔 안 돼서 결국 거절 당함)
➡️ 너무너무 길다...

⭕일요일에 옷 사러 어디어디 가려고 하는데 같이 갈래? 4시에 가려고.
➡️ 짧고 효율적이다!

✅연락하는 목적을 처음부터 말하는 게 요점. 연락 받는 사람 입장에서 일요일에 뭐하냐는 첫연락은 부탁이 있는 건지 행사 정보를 주려는 건지 만나서 같이 놀자는 건지 명확하지 않음. 한 문장으로 정리될 수 있는 걸 계속 내가 질문해서 알아내야 하는 게 개인적으론 꽤 짜증이 남...


1-1. 후속 질문은 같이 하기

❌수요일에 만날 수 있어? (답장을 기다렸다가) 그럼 일요일은? (답장을 기다림) 아 그때도 안 돼...? 그럼 그냥 다음달에 보자ㅠ 당분간 내가 시간이 없네. (다음달 언제?) 다음달 근무표가 안 나와서 나중에 말해줄게.
⭕수요일이나 일요일에 만날 수 있어? 혹시 둘 다 안 되면 내가 당분간 되는 날이 없어서 다음달에 봐야하는데 다음달 근무표가 아직 안 나와서 나오는대로 연락할게.

✅심리테스트처럼 질문 하나마다 Yes No 답 기다리지 말고 한 번에 말하자.


⭐약속을 잡거나 부탁을 수락할 때 듣는 사람 입장에선 꽤 많은 걸 고려해야 함. 시간이 안 될 수도 있고 장소가 내키지 않을 수도 있음. 그럼 이걸 수락할지 거절할지 결정하기 위해 추가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러면 양쪽 모두에게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모됨. 서로 편하려면 처음부터 명확하게 말하는 게 좋다.


2. 두괄식으로 말하기
❌아니 들어봐 내가 친구랑 떡볶이를 먹으러 갔는데 걔는 밀떡이 좋다 하고 나는 쌀떡이 좋다 해서 메뉴 고를 때 서로 의견이 안 좁혀져서 (음 친구랑 싸운 건가) 직원을 불러서 혹시 반반 되냐고 물어봤는데 틱틱대면서 안 된다고 하는 거야 (아 식당이 불친절했단 소리인가보다) 결국 가위바위보 내가 져서 밀떡 시켰는데 좀 이따 주방에서 큰소리 나서 쳐다보니까 우리한테 틱틱댔던 그 사람 사장님이랑 막 소리지르면서 싸우더라 ~어쩌구저쩌구 싸움의 내용~ 누가 신고했는지 경찰까지 왔어 (엥 갑자기 경찰이요) 다른 직원이 와서 죄송한데 주문 취소해드리겠다 그래서 나와서 옆 식당 갔어 (결론은 그거구나.....)
⭕나 친구랑 떡볶이 먹으러 갔는데 갑자기 직원이랑 사장이 싸워서 주문 취소 당하고 옆 식당 갔어 뭔 일이었냐면...

✅결론을 먼저 말하면 듣는 사람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. 앞으로 할 이야기가 무슨 내용일지 대충 알기 때문에 대화에 집중할 수 있다! 두괄식 말하기의 첫문장(결론)은 웹소설의 1화 같은 역할을 한달까. 앞으로 이런 얘기 펼쳐질 거임~ 하고 알려주면서 흥미 유발도 하는 기능인 거지.



지금 생각나는 거만 일단 써봤어 나중에 내용 추가될 수도 있음!

0
0
아직 댓글이 없어요.
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:)
아직 댓글이 없어요.
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:)
이전글
전체글
다음글